- kscn은 컨센서스노드의 역할도 수행하는건가요? 위 답변을 보면 rewadbase 계정으로 발행된다고 적혀있어서요. 각 scn의 rewardbase 주소를 알아서 적으면 블록 생성 시, 리워드 발생되는 구조인가요
네 kscn은 서비스체인에서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입니다. 여기서 rewardbase는 블록 보상을 받는 주소를 말하며, kcn의 rewardbase와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kscnd.conf의 REWARDBASE 필드에 정의하시면 편합니다.
- 튜터리얼을 보면 노드의 개수는 4로 하는데, 노드의 증감에 따라 설정 적용은 어떻게 하나요?
각 노드에서 scn 중단 후 노드키 설정 변경 후(static-nodes.json), 재시작하는 그런 절차인가요.
여기서 노드의 증감이 scn 개수의 증감을 말씀하시는 것을 말하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 클레이튼에서 노드를 추가하려면 voting을 이용해야합니다. 오래된 글이나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Klaytn validator 추가 에러 - Pepper 님의 게시물 #4 cn 추가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cn 추가 관련 글들을 참고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homi를 통해서 4개의 주소가 발급되었는데, genesis.json을 보면 5개의 주소가 할당되어있는것처럼 보이더라구요. 설명 요청 드립니다.
homi 실행한 명령을 알수가 없어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scn 만의 주소가 발급되지는 않았을것 같습니다. 테스트 어카운트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omi를 통해 생성된 genesis.json 파일을 보면 chainid가 제가 설정한 값이 아닌 1000으로 생성되어 있는데 상관없는건가요?
상관은 없으나, 본인이 설정하고자 하는 chainid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