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an  
                
                  
                    2월 28, 2020,  1:46오전
                   
                  1 
               
             
            
              서비스체인은 클레이튼의 확장성 솔루션으로 메인 네트워크 사용을 하기에는 부담되는 서비스를 위한 전용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자체적인 Private 네트워크 또는 Public 네트워크를 서비스체인으로 운영이 가능합니다.
서비스체인은 클레이튼과 같이 BFT 합의 알고리즘으로 동작이 되며 N개의 노드로 운영을 하는 경우에는 N = 2F + 1로써 F개의 노드의 장애에도 블록 생성은 유지가 됩니다.
하지만 4대 미만의 노드로 운영이 되는 경우에는 1대의 장애만으로도 블록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서비스 운용을 위해서는 4대의 노드 운영을 권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를 참조 해주십시요.
             
            
              4개의 좋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현재 저희는 SCN을 이용한 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SCN을 운영 시 SCN 내부에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가스비를 어떻게 처리하나요? 
현재 테스트용 스마트컨트랙트를 SCN에 배포하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컨트랙트를 배포하기 위하여 Klay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이는 메인넷이나 테스트넷과 필수적으로 연동되어 있어야 하나요? 
아니면 SCN 내부에 메인넷이나 테스트넷과 독립된 klay를 초기 발행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klay 발행이 가능하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레퍼런스나 매뉴얼이 있는지 가능하다면 상세하게 자료를 요청 드립니다. 
 
두서없이 질문 드렸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처음 시작하는 입장으로 질문 드리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4개의 좋아요 
            
            
           
          
            
              
                Ethan  
              
                  
                    3월 4, 2020, 11:59오전
                   
                  3 
               
             
            
              안녕하세요. 클레이튼 개발자 김경업입니다. 문의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면
Klaytn docs를 참고하셔서 아래와 같이 genesis 파일을 생성하시면 unit price가 0인 genesis 파일을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Klaytn Docs 
그리고 서비스체인상의 KLAY는 genesis 파일에 allocate된 주소가 소유를 하고 있으며 해당 주소의 private key는 keys 폴더의 nodekey와 keys_test의 testkey입니다.
해당 KLAY는 메인넷/테스트넷과는 관련없는 서비스체인 내에서의 KLAY입니다.
> homi setup local --cn-num 4 --test-num 1 --servicechain --p2p-port 30000 -o homi-output
Created :  homi-output/keys/passwd1
Created :  homi-output/keys/passwd2
Created :  homi-output/keys/passwd3
Created :  homi-output/keys/passwd4
Created :  homi-output/scripts/genesis.json
Created :  homi-output/keys/nodekey1
Created :  homi-output/keys/validator1
Created :  homi-output/keys/nodekey2
Created :  homi-output/keys/validator2
Created :  homi-output/keys/nodekey3
Created :  homi-output/keys/validator3
Created :  homi-output/keys/nodekey4
Created :  homi-output/keys/validator4
Created :  homi-output/scripts/static-nodes.json
Created :  homi-output/keys_test/testkey1
Created :  homi-output/keys_test/keystore1/0x7274c008eFB0f984b4cce86cB72F716C6a401354
Created :  homi-output/Klaytn.json
Created :  homi-output/Klaytn_txpool.json
> cat homi-output/scripts/genesis.json
{
    "config": {
        "chainId": 1000,
        "istanbul": {
            "epoch": 3600,
            "policy": 0,
            "sub": 22
        },
        "unitPrice": 0,
        "deriveShaImpl": 2,
        "governance": null
    },
    "timestamp": "0x5e5f9652",
    "extraData": "0x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f89af85494b0b9234e9ff5a219f1e9cbb2d53ca31e68854d959422c8383b5dae24c4cf4d67d2f7065673d022d38394a96e23312ac4a525786b842bb282fe92a94e9aed94ef4d96485cd48259cc3a8127896fd19e84b9dc8bb84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c0",
    "governanceData": null,
    "blockScore": "0x1",
    "alloc": {
        "22c8383b5dae24c4cf4d67d2f7065673d022d383": {
            "balance": "0x2540be400"
        },
        "7274c008efb0f984b4cce86cb72f716c6a401354": {
            "balance": "0x2540be400"
        },
        "a96e23312ac4a525786b842bb282fe92a94e9aed": {
            "balance": "0x2540be400"
        },
        "b0b9234e9ff5a219f1e9cbb2d53ca31e68854d95": {
            "balance": "0x2540be400"
        },
        "ef4d96485cd48259cc3a8127896fd19e84b9dc8b": {
            "balance": "0x2540be400"
        }
    },
    "number": "0x0",
    "gasUsed": "0x0",
    "parentHash": "0x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4개의 좋아요 
            
            
           
          
            
            
              안녕하세요. 친절하고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인 문의 사항이 있어 연락 드립니다.
클레이튼 기반의 토큰 발행에 관한 내용은(https://ko.docs.klaytn.com/smart-contract/token-standard ) 에서 확인 하였습니다. 현재 SCN 및 서비스에서 사용할 토큰 발행을 기획중에 있습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아직 서비스체인의 표준 토큰에 대한 자료가 없어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중입니다.
저희가 고려하고 있는 사항은
클레이튼과 호환 가능한 토큰 발행과 추가 발행 방법 확인 
SCN 내에서 해당 토큰을 사용 
클레이와 교환 시 메인넷에서 처리 
이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위치(메인넷 or 서비스체인) 확인 
토큰 발행 시 klay와 교환 비율(일부 코인에서 토큰 발행 시 코인과 토큰의 교환 비율이 초기 정해지면 바꿀수 없는 경우가 있음) 혹은 교환 비율 없이 발행 가능여부 
 
이와 관련하여 각 항목 별로 가능한 예시나 자료 혹은 설명 부탁 드립니다.
             
            
              
            
           
          
            
              
                Ethan  
                
                  
                    3월 10, 2020,  8:46오전
                   
                  5 
               
             
            
              반갑습니다.https://docs.klaytn.com/node/service-chain/references/value-transfer#erc-20-transfer 
다만, 클레이튼에서 이더리움의 ERC-20와 같이 KIP-7/17이라는 표준 토큰을 이번달 중으로 확정할 예정이며 서비스체인에 대한 표준도 추후 확정 할 예정입니다.
  
  
    Klaytn Improvement Proposals (KIPs) describe standards for the Klaytn platform, including core protocol specifications, client APIs, and contract standards.
   
  
    
    
  
  
 
https://github.com/klaytn/caver-js  (Caver v1.4.0 에서도 지원을 할 예정입니다.)
해당 내용을 참고 부탁드리며, 추후에 token 발행시 해당 KIP에 맞는 token으로 deploy 해주시길 안내드립니다.
추가적으로 문의하신 내용을 하나씩 말씀드려보겠습니다.
클레이튼과 호환 가능한 토큰 발행과 추가 발행 방법 확인
 
SCN 내에서 해당 토큰을 사용https://docs.klaytn.com/node/service-chain/getting-started/value-transfer 
 
클레이와 교환 시 메인넷에서 처리
 
이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위치(메인넷 or 서비스체인) 확인https://docs.klaytn.com/node/service-chain/getting-started/value-transfer 
 
토큰 발행 시 KLAY와 교환 비율(일부 코인에서 토큰 발행 시 코인과 토큰의 교환 비율이 초기 정해지면 바꿀수 없는 경우가 있음) 혹은 교환 비율 없이 발행 가능여부입니다.
 
 
문의 주셔서 감사합니다.
             
            
              1개의 좋아요 
            
            
           
          
            
            
              안녕하세요? 서비스체인과 관련하여 문의 사항이 있어 연락 드렸습니다.
현재 저희가 구축한 SCN에서 기본적인 토큰 발행후 하나의 계정에서 초당 몇개의 토큰 전송 트랜잭션을 처리 할 수 있는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SCN의 경우 권장 최소사항부터 진행하여 추가적인 옵션(AWS)으로 테스트 하였지만 결과는 동일합니다. 
테스트 시 1개의 계정에서 다수의 계정으로 토큰 전송 트랜잭션을 발생 시키는 구종 입니다. 
저희가 토큰 전송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올릴 수 있는 방안이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Ethan  
              
                  
                    4월 16, 2020,  3:41오전
                   
                  7 
               
             
            
              안녕하세요. 아래 정보가 있으면 답변을 드리기가 더 수월할것 같습니다.
SCN을 몇대로 구성하셨는지? 
transaction은 한대로만 전송을 한 경우인지? 
SCN의 conf파일은 어떻게 설정하셨느지? 
Tx의 Nonce의 처리는 어떻게 하였는지? 
SCN의 instance type은 무엇인지? (m5.2xlarge 또는 실제 물리서버의 spec) 
 
해당 정보와 함께 새로운 thread로 글을 남겨주시면 구체적으로 답변을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