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체인의 SCN, SEN 노드 구축 준비 중에 있습니다.
SEN - SCN 간 peer를 맺을 때 1대의 SEN은 1대의 SCN만 peer 가능한가요?
1:1 연결이라면 tx, 블록 정보들의 전달도 전부 해당 경로로만 전파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서비스체인의 SCN, SEN 노드 구축 준비 중에 있습니다.
SEN - SCN 간 peer를 맺을 때 1대의 SEN은 1대의 SCN만 peer 가능한가요?
1:1 연결이라면 tx, 블록 정보들의 전달도 전부 해당 경로로만 전파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관련된 답변을 첨부해드립니다.
현재 클레이튼 아키텍쳐 상으로 CN은 2개의 PN 과 연결이 가능합니다.
답변에 따르면 SPN의 역할을 SCN과 연결이 된다면, SEN이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SCN → SEN으로 합의된 블록 정보를 전달 경우 SCN 1개당 2개의 SEN과 연결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SCN 2대와 SEN 2대를 매쉬연결로 구성했을 때는 SEN 입장에서는 2대의 SCN과 연결되어 있을텐데 이렇게 되도 트랜잭션, 블록 전파 등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네.
SCN 2대와 SEN 2대씩을 띄우고
SCN - SEN
| X |
SCN - SEN
다음과 같이 연결했을 때 트랜잭션, 블록 전파 등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하신 것과 같이 특정 구성이 잘 동작하는지 직접 확인하려면 도커를 이용해 로컬 환경에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구성해 볼 수 있습니다. homi를 통해 노드 설정 파일 등을 만들기 위한 옵션 중 동작 환경을 도커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커를 이용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구성 방법에 대한 예시는 다음 레포지토리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실험 등을 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SEN 입장에서 SCN 2대가 보일텐데 TX, 블록 전파는 양 쪽 다 동일하게 보내는건지 한 곳으로만 보내는지도 알 수 있을까요
TX : SEN → SCN
블록전파 : SCN → SEN
기본적으로는 tx, 블록전파는 ‘연결된 노드에게’ 보냅니다.
메쉬연결이면 한번 전파로 양쪽다 동일하게 보내질테고요, 만약 메쉬연결이 아니더라도
1차적으로 연결된 노드한테 전파된 다음, peer통신을 통해 전파받게 됩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모든 노드가 tx,블록을 동일하게 가지게 되는 것이죠.
1대 SEN에서 2대의 SCN으로 TX가 전파되어 블록 생성이 될 때는 합의노드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2대 SCN에서 동일한 작업(블록에 tx를 검증 등)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구조 설계를 이런 식으로 하였을 때 불필요한 컴퓨팅 자원이 쓰여지는지 해서요
SCN을 2대로 하실 경우 2대 모두 합의에 committee로 참여하게 되는데요,
committee로 참여한다는 뜻은 두 대 모두 tx검증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자칫 답변이 길어질 수 있어, 합의에 좀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신 경우 klaytn docs를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