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블록체인 분야에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 따로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간단히 교육을 들으면서 이더리움 기반으로 truffle이나 web IDE을 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이번에 개인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보고 있는데 Node Provider 관련해서 의문이 생겨 글을 씁니다. 이제 Remix만 하더라도 메타마스크 provider를 통해서 컨트랙트를 deploy하게 되는데 klaytn IDE에서는 그냥 바로 테스트넷인지 메인넷인지 선택하더라고요. 따로 kaikas wallet에도 배포하겠냐는 메세지가 뜨지 않는 것으로 봐서 kaikas 가 provider 역할을 하지는 않는 것 같은데 어떻게 배포되는 건가요? truffle에서도 같은 경우가 발생할텐데 따로 EN을 운영하기엔 무리인 것 같고 infura같은 서비스가 따로 존재하나요?
아 감사합니다 ㅎㅎ 의문이 풀렸네요!!! 혹시 그러면 같은 방법으로 klip 로그인 이후에도 kaikas EN을 사용하면 kliip address의 balance를 가져올 수 있는 건가요? 간단히 ERC-1155 나 721 스펙으로 nft 찍어서 지인들에게 선물해주는 토이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는데… 일반 지인들 같은 경우 따로 브라우저에 kaikas나 metamask가 설치 안되어 있을텐데 auth 받고 자기 wallet에 담긴 밸런스나 nft 정보를 어떻게 프론트로 보여줘야할지 의문입니다…